서난이 의원, 전북형 분산에너지 모델 발굴·체계적 육성 필요 주장
검색 입력폼
 
정치

서난이 의원, 전북형 분산에너지 모델 발굴·체계적 육성 필요 주장

‘분산에너지 특구’ 공모 탈락, 형식적 회의 등 보여주기식 행정 질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서난이 의원(전주9)
[정보신문 = 김금덕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서난이 의원(전주9)은 지난 25일 열린 제419회 정례회 제4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전북자치도형 분산에너지 모델의 시급한 발굴과 체계적 육성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서 의원은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할 핵심 과제는 분산에너지 전환”이라며, “화석연료 기반의 중앙집중형 에너지 체계에서 벗어나 지역 중심의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전북자치도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열쇠”라고 강조했다.

특히 서 의원은 지난해 시행된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공모에서 전북자치도가 탈락한 이후, 도 차원의 후속 대응이나 보완 계획이 부재하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아울러 “RE100 에너지솔루션 얼라이언스 출범 또한 회의 중심의 보여주기 행정에 그쳤고, 실행 전략이 전무한 실정”이라며 행정의 소극적 태도를 지적했다.

서 의원은 전북자치도형 분산에너지 정책은 중앙의 공모사업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며, 지역 스스로의 비전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중심 분산에너지 모델 정착은 궁극적으로 도내 인구 증대와 도민 기본소득 확보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주민 참여형 모델의 구축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전북자치도형 분산에너지 구축을 위해 ▲지역 특성과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시범사업 조속 추진 ▲ 주민 수용성을 확보한 재생에너지 시설 확보 ▲ 분산에너지지원센터 설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에너지전환을 위한 전북 시민사회 연대’가 제안한 새만금 동서도로 남측 사면의 시민햇빛발전소 조성 방안을 전북자치도에서도 본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서 의원은 “지금 이 순간이 전북자치도 에너지 정책의 전환점이 되어야 하며, 주도적인 정책 추진만이 전북자치도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발언을 마쳤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