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 자연재해 피해 우려 반지하주택 주거안전망 강화 |
전주시는 집중호우와 태풍, 혹서기·혹한기 등 자연재해와 기후 위험으로부터 반지하주택 거주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전주지역 반지하주택 22개 동(37가구)에 현재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22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고 9일 밝혔다.
조사 내용은 △주거유형 및 가구 형태 △냉·난방시설 현황 △사회보장급여 수급 여부 △침수 위험 여부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대상 가구의 63%가 자가였으며, 노인 단독 세대가 많고 사회보장급여 수급자가 다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보일러 시설의 경우 모든 조사 가구(100%)가 갖추고 있어 혹한기 거주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전체 22가구 중 16가구(73%)만 에어컨을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6가구(27%)는 선풍기만 사용해 혹서기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는 에어컨을 보유하지 않은 6가구 중 4가구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신청을 통한 에너지효율개선사업(에어컨 설치 지원사업)으로, 나머지 2가구는 주거복지센터의 주거생활유지지원사업을 통해 냉방기기를 설치하도록 연계할 계획이다. 또, 필요시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임시거처에 머물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완산·덕진구청 및 34개 동 주민센터 방문간호사와 사례관리사와 협력해 혹서기 취약 계층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 더욱더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해나가기로 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반지하주택의 침수 위험 조사도 함께 이뤄졌다. 그 결과 총 22가구 중 2가구는 침수 방지시설 설치가 완료됐으며, 9가구는 창문이 지면에서 40cm 이상 높거나 지형상 침수 우려가 낮아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11가구에 대해서는 이달 중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무상으로 침수 방지시설 설치가 이뤄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설치 예정인 11가구 중 2가구의 경우 과거 침수 이력이 없고 차수판 설치 시 채광 문제 등 답답함으로 인해 설치를 거부했으나, 담당자가 지속적으로 현장을 방문해 극한 호우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적극 설명하면서 결국 건축주와 임차인의 동의를 얻어내기도 했다.
이외에도 시는 집중호우로 인한 긴급 대피 상황 발생에 대비해 주민센터 직원과 통장 등으로 구성된 ‘동행파트너’ 제도를 통해 자력 대피가 어려운 거주자들에 대해 이미 지정된 대피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국승철 전주시 건설안전국장은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반지하주택 거주자의 생활환경과 침수 위험 요인을 면밀하게 파악한 만큼, 취약 계층 맞춤형 지원과 안전대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촘촘한 주거안전망을 구축하고, 재난으로부터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전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