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도.시군 합동 여름철 자연재해 취약지 사전 대비 합동점검 실시

도‧시군 합동으로 재해위험지역 점검…피해지역 중심 선제 대응
호우‧태풍 대비 안전조치 계획 등 피해 예방 대책 집중 점검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
2025년 04월 14일(월) 18:44
전북특별자치도
[정보신문 = 김금덕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등 자연재난에 대비해 침수 우려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현장 점검에 나섰다.

도는 4월 14일 정읍시와 김제시를 시작으로, 오는 5월 14일까지 도내 14개 시군을 대상으로 도‧시군 합동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전북자치도 도민안전실장과 자연재난과장, 시군 부단체장, 관련 부서장이 함께 참여하며, 산불 피해지역, 산사태 우려지역, 급경사지, 지하공간, 재해위험개선지구 등 과거 피해 이력이 있거나 취약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특히 재해위험지역의 안전조치 계획과 재피해 예방대책 이행 여부를 집중적으로 확인한다.

도는 점검 과정에서 미비점이 발견될 경우 장마철이 시작되기 전인 6월까지 응급복구와 안전조치를 완료하도록 조치하고, 인명피해 우려지역으로 추가로 지정해 대피장소 마련과 주민 보호방안 수립 등 특별 관리에 들어갈 방침이다.

14일 첫 점검지로 방문한 정읍시에서는 한교천 수해복구사업 현장과 동진강 정우면 초강리 홍수특보 지점, 태인면 박동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등을 둘러봤다.

한교천 수해복구사업은 지난해 9월 집중호우로 제방 30m가 유실되며 농경지 2.3㏊가 침수된 곳이다. 총 5억 원을 들여 올해 12월 착공해 내년 5월까지 복구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초강리 홍수특보 지점은 홍수경보 발령 시 주민에게 문자 발송, 대피 담당자 지정, 대피장소 확보 등 인명 보호체계를 갖추고 있는 곳으로, 대응 실태를 점검했다.

박동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는 박동천 통수 능력 부족으로 인해 반복적인 주택 및 농경지 침수 피해가 발생했던 지역이다. 총 393억 원을 투입해 2026년 사업을 시작, 2029년까지 배수펌프장 등 재해예방시설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서 방문한 김제시에서는 죽산2지구 급경사지 정비사업장과 2023년 대규모 농작물 침수 피해가 발생한 죽산면 일원을 점검했다. 죽산2지구는 붕괴위험이 높은 D등급 지역으로, 33억 원을 투입해 2023년 사업을 시작, 2025년 말까지 정비를 마칠 예정이다.

죽산면 일원은 2023년 7월 집중호우로 논콩 등 농작물 1,882㏊가 침수돼 14억 원의 피해를 입은 지역이다. 전북자치도는 올해 장마철을 앞두고 한국농어촌공사 등과 협력해 배수관문 조기 개방과 하천 준설을 통해 침수 예방에 나설 계획이다.

오택림 전북자치도 도민안전실장은 “2023년과 2024년 연이은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겪은 만큼, 올해는 도와 시군, 유관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며 “무엇보다 도민 생명을 최우선으로 삼아 단 한 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
이 기사는 정보신문 홈페이지(jungbonews.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jungbonews.co.kr/article.php?aid=5928034125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16일 07:3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