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도 의원, AI 행정 외치지만 전국 지자체 데이터직 19명 불과 서울·부산·인천 0명
검색 입력폼
 
정치

한병도 의원, AI 행정 외치지만 전국 지자체 데이터직 19명 불과 서울·부산·인천 0명

전국 지자체 전산직 4,549명 중 데이터직 0.4%(19명), AI 업무 담당 7.6%(349명) 그쳐
한병도 의원 "AI 기본법 시행 앞두고 인력 보강·직류 개편 시급"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정보신문 = 김금덕 기자] 정부가 'AI 기반 행정혁신'을 강조하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지방자치단체 전문인력이 심각하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자체 전산직 공무원 중 데이터직은 0.4%(19명)에 불과하고, AI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도 7.6%(349명)에 그쳤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243개 지자체(광역 17곳, 기초 226곳) 전산직렬 공무원은 총 4,549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데이터직류는 광역 4명, 기초 15명으로 총 19명에 불과했다.

광역단체 중 데이터직 공무원이 있는 곳은 광주(4명)가 유일했고, 기초단체에서도 광주(3명), 충남(8명), 강원(3명), 전남(1명) 등 4개 지역 15명뿐이었다. 서울·부산·대구·인천 등 주요 대도시 광역·기초 지자체에도 데이터직 공무원이 한 명도 없었다.

현재 AI 관련 업무는 대부분 기존 전산직 공무원이 본연의 정보시스템 관리·보안 업무와 함께 겸직하는 형태로, 전산직의 7.6%인 349명이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자체들마다 “업무량 급증, 전문인력 부족, 보안·윤리 관리 강화, 역량 개발 미비 등으로 내년 AI 기본법 시행 대응이 어렵다”고 호소했다.

데이터직류는 2020년 신설돼 2023년부터 채용이 시작됐으나, 5년간 인력 확충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데이터직류가 빅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반면, 전산직류는 인프라 전반을 관리하는 범용형이라 지자체들은 후자를 선호하는 상황이다.

한병도 의원은 “사람 없는 AI 행정은 불가능하다”면서 “현재처럼 전산직에 AI 업무를 덧붙이는 방식으론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 의원은 “데이터·AI 직무체계 개편 로드맵을 마련하고 광역 단위 공동정원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금덕 기자 jbnews24@naver.com